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표

by 노을이좋아 2020. 11. 5.
반응형

정부에서 서민들에게 지원하는 사업들을 보면 자격조건에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몇 %라는 조건이 달립니다. 그냥 얼마의 소득이라고 말해주면 좋을것을 어렵게 표시를 한답니다. 조건에 부합을 시키려는 의도인것 같은데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너무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표를 보고 확인 하시는 분들이 많기에 쉬게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아래의 표 처럼 나열이 되어 있습니다. 100%라 함은 평균이 되면 그 이상은 도시근로자의 평균 소득보다 높으며 100%이하는 평균 이하의 소득을 보여주게 된답니다. 또한 가구수 별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본인 가족수에 따른 소득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적용 방법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소득기준을 심사 받을때 원천징수영수증의 적용을 받게 된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기본급 이외에도 성과급이나 보너스, 인센티브도 포함된 기준으로 심사를 받게 된답니다. 

생애최초, 신혼특공, 행복주택 소득기준

생애최초 특별공급 - 생애최초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도시근로자 월 평균 소득의 130%이하로 2인 3인 4인 가구로 569만원/ 731만원 / 809만원이 기준이 됩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 신혼부부 공급은 도시근로자 월 평균 소득의 120%이하입니다. 2인부터 4인가족까지 하여 525만원 / 675만원/ 747만원이 기준이 됩니다.

행복주택 - 청년의 경우에는 소득기준 100%이하여야 하며 신혼부부의 경우 맞벌이를 하신다면 120%이하의 소득기준이 적용이 된답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매년 바뀌기 때문에 해당 정책에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매년 바뀌는 평균소득 금액을 확인하셔야 착오 없이 수입을 조절하여 진행을 하실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